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WordPress
- instance생성
- hashset
- 리스트차집합
- postgresql13
- 지옥같은git
- AWS
- Annotation
- xml
- lightsail
- wordpress블로그
- mybatis
- 리스트합집합
- 널포인터에러
- peer authentication 에러
- ansible
- anymatch메서드
- 리스트비교
- awsconsole
- 중복제거
- Java
- 두개리스트비교
- 권한정책
- db
- Spring
- PostgreSQL
- list중복제거
- route53
- 리스트교집합
- enum
- Today
- Total
Anyway
SELECT object_type, object_name, description FROM service_master ▪️ 현재 쿼리 > object_type에 실제로 들어가 있는 값에 따라 다르게 출력하고 싶었다. SELECT CASE WHEN object_type = 'apple' THEN 'Apple' WHEN object_type = 'green' THEN 'Green' ELSE object_type END AS object_type, object_..
🫨기존 코드클라이언트로부터 받는 branch의 값이 A면 t_a_raw 테이블을 조회하고B면 t_b_raw 테이블을 조회하는 것이 목표참고로 branch 필드의 type은 ENUM Type이다.SELECT .........FROM t_a_raw t_b_raw 이렇게도 작성해보고SELECT .........FROM t_a_raw t_b_raw 저렇게도 작성해보고 equals도 써보고 다 해봤는데 먼저 branch.valueOf('A')과 같이 작성하게 되면➡️ if문이 모두 참으로 동작되어 a테이블도 b테이블도 나와버리게 됨. 조건문의 동작을 전혀 하지 않고 있음. 이후 branch == 'A'와 ..

Set seqNoList = new HashSet(seqNoListForCheck); List newSeqNoList = new ArrayList(seqNoList);⚠️ 클라이언트로부터 두 가지의 list를 전달받는데 하나의 list로 합쳐 중복값을 제거해야 했다. List seqNoListForCheck = new ArrayList(); for(Long seqNo : reqDto.getFinalSeqNoList()) { seqNoListForCheck.add(seqNo); } for(SeqNoUseYn seqNo : reqDto.getSeqNoUseYnList()) { seqNoListForChe..

단순히 코드 저장을 위해 Github에 코드를 올린다 하지만 아무래도 DB user나 pw같은 유출 가능성이 있는 키나 개인 정보들은 암호화해주는 게 좋다. 더군다나 실무에서 이런 키들이 저장소에 올라가게 되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... 😌 이번에 진행중인 프로젝트 내에서 프로퍼티 암호화를 위해 Jasypt를 처음 써보게 되어 정리한다. [Jasypt란?] Jasypt is a java library which allows the developer to add basic encryption capabilities to his/her projects with minimum effort, and without the need of having deep knowledge on how cryptogr..
코드 개발을 하던 중 1️⃣ public CommonResult update(@RequestBody @Valid DeptUpdateReqDto deptUpdateReqDto, BindingResult bindingResult) throws ApiBindException { if (bindingResult.hasErrors()) { throw new ApiBindException(bindingResult); } deptService.update(deptUpdateReqDto); // 보여줄 데이터가 있는 게 아니니깐 성공시 ok() 소환 > SUCCESS(code랑 메세지만 들..
[@Builder 패턴 사용하기] 개발을 다시 시작하면서 @Builder 어노테이션을 처음 써 봐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 개념 정리를 했다. 😬 1. 생성자(Constructor)역할 : 객체를 생성할 때 호출되며 필수적인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. 사용 방식 : 'new' 키워드를 사용하여 직접 호출한다.exDeptListResDto dto = new DeptListResDto(); 2. Builder 패턴역할 : 복잡한 객체를 생성할 때, 보다 유연하고 가독성 좋은 방법을 제공한다. 사용 방식: 'builder()' 메서드를 호출하여 빌더 객체를 생성하고, 필요한 필드를 설정한 후 'build()' 메서드를 호출하여 최종 객체를 생성한다.exDeptListResDto dto = DeptListRes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