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
[Git] 기본 명령어 간단 정리 init add commit log
dyana
2024. 8. 21. 10:22
[간단 Git 명령어 정리]
1) git init
git init
- start a working area : git init 시 현재 디렉토리에서 작업을 시작하겠다라는 것을 알리는 것. (init or clone)
현재 디렉토리를 버전관리하는 것. - .git 디렉토리가 생성됨 : '.git'이라는 디렉토리에 깃의 저장소를 초기화한 것으로 버전 관리를 하게 되면 여러가지 정보들이 생성되는데 생성된 정보는 이 디렉토리에 저장된다.
2) git status
vi file.txt
git status
- untracked files : 추적되고 있지 않다라는 뜻으로 버전 관리가 되고 있는 디렉토리인 gitst 안에 존재하지만 이 파일을 git한테 버전 관리를 시작하라고 하기 전까지 git은 이 파일을 무시하게 된다.
3) git add
git add file.txt
- git add : git한테 관리하라고(추적하라고) 알려주는 명령어
- 그 후에 git status를 쳐보면 new file로 새로운 파일이라고 인식하기 시작한다.
- add하면 commit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 : add한 파일들만 commit이 가능하다. 선택적으로 commit할 수 있다는 말.
4) git commit
git commit -m "commit message"
- git commit 만으로도 vi 창으로 열려 commit 내용 작성 가능, commit 내용으로 version 관리가 가능하다.
- git log 명령어로 commit 내용 확인할 수 있다.
- commit 하나당 하나의 작업을 담고있는 게 이상적이다.
- commit 대기 상태 = stage area > commit이 된 결과가 저장된 곳이 repository
5) git log
git log
git log -p
git log [commit id]
- -p 옵션 : 각각의 commit과 commit 사이 소스 상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다.
- 결과 내용 : a가 이전 commit b가 이후 commit, /dev/null 은 이전에 없었던 파일이라는 것
- [commit id] 옵션 : 자기 commit 포함해서 commit 이전 내역만 보이게 됨.
- ⚠️commit id? commit 메세지가 가리키는 버전의 고유한 주소
git diff [commit id 1]..[commit id 2]
- commit 사이 소스 상의 차이점을 볼 수 있다.
- git diff라고만 하면 내가 작성한 코드가 commit하기 전에 이전 commit 과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것이다.